캐나다로 이민, 워킹홀리데이, 유학 등 다양한 이유로 입국한 분들 중 운전을 계속하려는 경우, 운전면허 교환은 꼭 필요한 절차입니다. 다행히 한국과 캐나다는 일부 주에서 면허 상호인정 협약을 맺고 있어, 비교적 간단하게 교환이 가능합니다.
✅ 1. 어떤 주에서 면허 교환이 가능한가요?
한국 면허증은 다음과 같은 주(Province)에서 교환이 가능합니다:
- 온타리오 (Ontario)
- 브리티시컬럼비아 (British Columbia, BC)
- 알버타 (Alberta)
- 매니토바 (Manitoba)
- 퀘벡 (Quebec)
※ 각 주의 운전면허 기관 웹사이트에서 상세적인 부분은 확인 필요
✅ 2. 기본 조건
- 유효한 한국 운전면허증 소지
- 신분증(여권, 영주권, 학생비자 등)
- 운전경력증명서 (한글 + 영문 번역본)
- 시력검사 통과
💡 일부 주에서는 운전 필기/도로주행시험 면제
✅ 3. 필요 서류
- 한국 운전면허증 원본
- 운전경력증명서 (한글/영문)
- 여권 또는 유효한 비자
- 거주지 증명서류 (렌트 계약서, 공과금 영수증 등)
- 수수료 (약 $80~$120)
✅ 4. 교환 절차 요약 (예: 온타리오 & 밴쿠버 기준)
📍 온타리오 (Ontario)
- 운전경력증명서 준비
- DriveTest 또는 ServiceOntario 방문
- 서류 제출 및 시력검사
- 조건 충족 시 G 또는 G2 면허 발급
※ 2년 이상 보유 시 도로주행 면제
📍 브리티시컬럼비아 - 밴쿠버 (Vancouver, BC)
- 운전경력증명서 및 공증된 영문 번역본 준비
- ICBC (Insurance Corporation of BC) 드라이버 라이선스 서비스 센터 방문(예약을 해야 오래 기다리지 않아요)
- 신분증 및 거주 증명 서류 제출
- 시력 검사 후 도로주행 면제 여부 결정
- 수수료 납부 및 BC 운전면허증 발급
※ 한국 면허 2년 이상 경력 시 필기 및 주행시험 면제 가능
※ 2년 이상 보유 시 도로주행 면제
✅ 5. 자주 묻는 질문 (FAQ)
Q. 한국 면허를 국제면허로 바꾸면 안 되나요?
A. 국제면허는 단기 체류자(6개월 이내)만 사용 가능. 장기 체류자는 반드시 현지 면허 교환 필요.
Q. 운전경력증명서는 어디서 받나요?
A. 한국의 경찰서 민원실 또는 도로교통공단 홈페이지에서 발급 가능.
Q. 운전한 지 1년도 안 됐는데 교환 가능한가요?
A. 대부분의 주에서 1년 이상 운전 경력을 요구. 그렇지 않으면 처음부터 G1부터 시작해야 할 수 있음.
📝 마무리 팁
- 캐나다 오기 전 운전경력증명서 + 번역본 준비
- 각 주 면허국 홈페이지에서 최신 정보 확인
- 영어가 어렵다면 통역 요청 또는 공증사무소 활용
'캐나다에서의 삶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캐나다 이민자를 위한 현실적인 취업 전략 (0) | 2025.04.07 |
---|---|
캐나다에서 공인 치과조무사(CDA) 되는 법|자격증 취득부터 연봉까지 총정리 (0) | 2025.04.06 |